짱이 될거야
프로그래머스: 과일장수 Python 본문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5808?language=python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과일 장수가 사과 상자를 포장하고 있습니다. 사과는 상태에 따라 1점부터 k점까지의 점수로 분류하며, k점이 최상품의 사과이고 1점이 최하품의 사과입니다.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다음과 같이 결정됩니다.
- 한 상자에 사과를 m개씩 담아 포장합니다.
- 상자에 담긴 사과 중 가장 낮은 점수가 p (1 ≤ p ≤ k)점인 경우, 사과 한 상자의 가격은 p * m 입니다.
과일 장수가 가능한 많은 사과를 팔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계산하고자 합니다.(사과는 상자 단위로만 판매하며, 남는 사과는 버립니다)
예를 들어, k = 3, m = 4, 사과 7개의 점수가 [1, 2, 3, 1, 2, 3, 1]이라면, 다음과 같이 [2, 3, 2, 3]으로 구성된 사과 상자 1개를 만들어 판매하여 최대 이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 (최저 사과 점수) x (한 상자에 담긴 사과 개수) x (상자의 개수) = 2 x 4 x 1 = 8
사과의 최대 점수 k, 한 상자에 들어가는 사과의 수 m, 사과들의 점수 score가 주어졌을 때, 과일 장수가 얻을 수 있는 최대 이익을 return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예시 입출력을 보면 점수가 높은 과일부터 모아서 한 박스씩 담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score array를 역순으로 정렬하고, 박스에 하나씩 담는다.
def solution(k, m, score):
answer = 0
score.sort(reverse=True)
N = len(score)
for i in range(N//m):
answer += (score[i*m+m-1])*m
return answer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준 3003: 킹, 퀸, 룩, 비숍, 나이트, 폰 Python (0) | 2022.11.23 |
---|---|
프로그래머스: 모의고사 (0) | 2022.11.22 |
백준 1303: 전쟁 - 전투 Python (BFS) (0) | 2022.11.14 |
백준 2581: 소수 Python (0) | 2022.11.11 |
백준 1292: 쉽게 푸는 문제 Python (0) | 2022.11.1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