짱이 될거야
[실기] 빅데이터분석기사 - Day 1 본문
모처럼 쉬는 날에 빅데이터분석기사 실기 책을 분철하고 왔다.
이왕 책도 다 준비된 김에, 오늘부터 실기 공부를 시작하기로 했다.
교재
교재로는 시나공을 선택했는데, 선택한 이유는 내용이 (UI적으로) 보기 좋게 되어 있어서였다.
하지만 다시 산다고 하면 다른 교재를 고를 것 같은데, 예제에 대한 풀이가 너무 부실해서 이해하기가 어려울 것 같기 때문이다. (이기적이나 데이터에듀 출판사 교재가 좋을 것 같다.)
공부 방법
여러 블로그들을 참고해서 아래와 같이 정리해보았다.
1. 실기 책 내 예제를 따라해보면서 유형 익히기
2. Kaggle(https://www.kaggle.com/datasets/agileteam/bigdatacertificationkr/data) 사이트를 통해서 예제 풀기
여러 방법이나 사이트, 유튜브 강의가 많았지만 두 가지 방법만 선택한 이유는 아래와 같다.
- 첫 번째, SSAFY Python 과정을 수료하면서 Python 언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음.
- 두 번째, 회사 업무와 병행하면서 자격증을 준비해야 하기 때문에 너무 많은 시간을 투자하기는 힘듦.
- 세 번째, 처음부터 많은 자료를 보려고 하면 신경이 분산되어 오히려 더 헷갈릴 것 같음.
항상 공부를 시작하기 전에 출제 유형과 채점 방식을 보고 시작하는데, 그래야 내가 어느 부분에 더 집중을 해야 하고 답안 제출 시에 어떤 점을 유의해야 하는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빅데이터 분석기사의 경우에는 총 3개의 과목이 있다. 작업형 1, 2는 무난하게 넘어갈 것 같고, 작업형 3에서 각 소문항이 있다는 걸로 봐서 처음 하나에서 막히면 끝까지 다 막힐 수 있는 위험이 있어서 좀 더 조심해야겠다.
- 작업형 1: 답안 제출 화면에서 답을 작성하며, 지시된 제출 형식(소수점 단위) 준수. 만점 또는 0점
- 작업형 2: 예측 결과를 CSV 파일로 제출하며, 평가 지표에 따라 구간별 점수 부여. 부분점수 없음
- 작업형 3: 답안 제출 화면에서 답을 작성하며, 각 소문항별로 정답 여부에 따라 배점. 부분점수 없음
개발 환경
우선 교재에서 제공하는 예제 코드는 Jupyter notebook 형태로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나도 Colab을 사용해서 공부하기로 했다.
교재에서 제공하는 예제 Colab 파일을 띄워놓은 다음, 새로운 colab 파일을 하나 열어서 교재를 보면서 따라 한다.
그러다가 모르거나 헷갈리는 부분이 생기면 교재에서 제공하는 예제 colab 파일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할 예정이다.
공부 범위
작업형1. Python (Chapter 1)
- 출력 / 주석 / 산술 연산자 / 자료형 / 변수 / 자료형 변환 / 비교 연산자 / 조건문
- 리스트 / 딕셔너리 / 인덱싱과 슬라이싱 / 내장 함수 / 문자열 / 반복문 / 함수
- 확인문제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필기] 제 9회 빅데이터분석기사 (0) | 2024.10.0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