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프로젝트 (20)
짱이 될거야
React의 경우, 시간 순서대로 코드를 진행하고 싶을 때(axios 등), async ~ await를 사용한다. Unity의 경우에는 StartCoroutine, IEumerator를 사용한다. 코드를 순서대로 실행하고 싶은 함수 앞에 `IEumerator`를 적어주고, 해당 함수를 불러올 때 StartCoroutine(함수 이름())으로 불러온다. IEumerator 함수 내에서는 코드 사이에 delay를 걸어줄 수 있는데, yield return new WaitForSeconds(시간)으로 적어주면 된다. 예시 public void Start() { StartCoroutine(Example()); } IEnumerator Example() { yield return new WaitForSeconds..

Unity 프로젝트를 수행할 때, 해상도에 따라 화면 크기가 달라진다. 이때 버튼 등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Canvas 크기를 고정하면 좋다. Canvas의 Inspector > Canvas Scaler UI Scale Mode: (기본) Constant Pixel Size -> (수정) Scale With Screen Size Reference Resolution: 원하는 크기로 고정 x: 1920, y: 1080
unity에서 비활성화한 object를 script에서 불러와보자. 우선, 비활성화한 object 위에 상위 object를 만들어야 한다. 이때 상위 object는 활성화된 상태여야 한다. (비활성화된 object를 script에서 바로 불러올 수 없다.) 이후, script에서 상위 오브젝트(활성화 상태)를 가져온다. 접근하고자 하는 오브젝트 = GameObject.Find("상위 오브젝트").transform.Find("접근하고자 하는 오브젝트").gameObject; 예시 A: 활성화된 상위 Object B: 접근하고자 하는 Object (비활성화 상태)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pu..

Unity에서 Scene 전환하기 1. File > New Scene: 새로운 scene 생성 2. Assets/Scenes에 저장 3. File > Build Settings... 클릭 4. 생성한 Scene을 'Scenes In Build'에 넣는다. 그러면 인덱스가 생성되는데, 이 인덱스를 씬 전환에 사용한다. (이름으로 할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는 인덱스가 좀 더 명확하다.) 5. Script에 씬 전환하는 코드를 작성해준다. 아래 예시 코드는 button을 누르면 count 숫자가 증가하고, count=2가 되면 scene이 0에서 1로 전환되도록 구현해두었다.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

현재 2021.3.11f1 버전을 쓰는데, 한글을 입력하면 ㅁㅁ과 같이 네모로 나타난다. 해결방법은 폰트를 다운로드하고 적용하는 것이다. 1. 폰트를 다운받고, Assets/Fonts 폴더 만들어서 파일 넣는다. 2. 폰트 파일 우클릭 후 Create > TextMeshPro > FontAsset을 누른다. 3. 입력하고자 하는 컴포넌트의 Inspector에서 'Font Asset'을 찾고, 다운로드한 폰트 파일을 선택하면 된다.

Fade Out (기본 화면 -> Black) 1. 2D Canvas 생성 2. Canvas > UI > Image(name: ‘Black’) 생성 후 stretch로 canvas에 꽉 차도록 설정 Anchors를 화면을 조금 벗어나도록 설정해준다. (혹시 화면에 꽉 찰 때 빈 틈이 생길까봐) 이미지 색을 검은색으로 변경 3. 이미지 alpha 값을 0으로 하고 비활성화 4. Assets/Scripts 폴더 생성 후 FadeScript.cs 작성 -> Canvas에 삽입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UnityEngine; using UnityEngine.UI; public class FadeScript : MonoB..